138 |
[필독사항] 파생 상품 시장 발전 방안 후속 조치 |
2015-11-26 |
|
|
 |
2014년 6월
금융위원회는 한국 거래소에서 파생 상품 시장
개인 투자자 보호 제도를 시행하기로 발표
- 기본 예탁금 강화
- 사전 투자 경험 여부에 따라 선물 옵션 거래 제한
- 선물 상품 거래는 사전 교육 및 모의거래 이수 투자자에 한해 가능
- 선물 옵션 전체 상품 거래는 최초 선물/옵션 계좌 개설일이 1년 경과한 투자자 중
사전 교육 및 모의 거래를 이수한 투자자에 한해 가능
= 파생 상품 사전 교육 30시간
= 기본 예탁금 상향 조정(선물 3,000만원 이상, 옵션 5,000만원 이상)
|
|
137 |
[주식용어] [주식용어] 동시호가 매매 시간은? |
2015-11-19 |
|
|
 |
동시호가 매매 시간
장이 열리는 날 AM 8시 ~ 9시 / PM 2:50 ~ 3시
동시호가 시간에는 증시에서 시장관리자가 주문만 일단 받은 뒤
거래 체결은 동시호가 시간대가 끝나는 시간에 일제히 이뤄집니다.
시장관리자는 종목별로 주문 호가와 수량을 감안해
적당한 매매가를 지정한 뒤 그걸 체결가로 정하고
한꺼번에 매매를 체결해나갑니다(단일가 체결).
|
|
136 |
[주식용어] [주식용어] 수량 우선 원칙이란? |
2015-11-12 |
|
|
 |
수량 우선 원칙
동시에 접수된 호가(동시호가) 및
접수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격이 같은 호가에 대해서는 주문 수량이 많은 쪽부터 거래 체결
가격과 시간 원칙 둘다 겹친다면 결국 주문 수량이 많은 쪽이 우선시됩니다.
* 사실상 동시호가가 적용되는 시간대에 주로 발생하는 원칙
E는 동시호가 시간에 ☆☆ 종목 주당 10000원 100주 매수 주문을 냅니다.
F는 동시호가 시간에 ☆☆ 종목 주당 10000원 101주 매수 주문을 냅니다.
G는 동시호가 시간에 ☆☆ 종목 주당 10000원 200주 매수 주문을 냅니다.
H는 동시호가 시간에 ☆☆ 종목 주당 10000원 199주 매수 주문을 냅니다.
E, F, G, H 중 누가 먼저 ☆☆ 종목의 주식을 거래 가능할까요?
답은 G입니다.
동시호가 시간에는 모두 같은 시간에 주문을 낸 것으로 간주하기에,
시간 우선 원칙은 배제됩니다.
남은 원칙은 가격과 수량인데,
가격이 모두 동일하다면 더 많은 수량을 주문한 쪽이 우선권을 갖게 됩니다.
|
|
135 |
[주식용어] [주식용어] 시간 우선 원칙이란? |
2015-11-05 |
|
|
 |
시간 우선 원칙
호가가 같은 주문이 여러개 나올 경우 먼저 주문한 쪽부터 거래가 성립
C는 11시 00분에 ☆☆ 종목 / 주당 10000원 / 100주 매수 호가를 냅니다.
D는 11시 01분에 ☆☆ 종목 / 주당 10000원 / 100주 매수 호가를 냅니다.
이후 증시에 ☆☆ 종목의 매도 주문이 100주 나오게 됩니다.
C와 D 중 누가 ☆☆ 종목의 주식 100주를 살 수 있을까요?
답은 C입니다.
매수호가가 동일한 경우 먼저 주문한 쪽부터 거래가 성립되기 때문이죠.
|
|
134 |
[주식용어] [주식용어] 가격 우선 원칙이란? |
2015-10-30 |
|
|
 |
가격 우선 원칙
매도호가는 낮은 것이 우선
매수호가는 높은 것이 우선
팔때는 낮은 가격을, 살때는 높은 가격이
호가의 우선 순위로 결정되는 원칙
A는 ☆☆ 종목을 주당 10000원에 100주 주문합니다.
B는 ☆☆ 종목을 주당 10050원에 100주 주문합니다.
이후 증시에서 ☆☆ 종목의 매도 주문이 100주 나옵니다.
A와 B 중 누가 ☆☆ 종목의 주식 100주를 살 수 있을까요?
답은 B입니다.
B가 A보다 높은 매수 호가를 냈기 때문이죠.
|
|
133 |
[주식용어] [주식용어] 매매 체결 원칙이란? |
2015-10-23 |
|
|
 |
매매 체결 원칙
가격 / 시간 / 수량
정규증시는 가격 -> 시간 -> 수량의 3가지 원칙으로 운용됩니다.
시간외 매매의 경우 가격 -> 수량의 원칙으로, 시간 원칙은 배제됩니다.
|
|
132 |
[주식용어] [선물용어] 호가란? |
2015-10-16 |
|
|
 |
호가란?
매매 주문 때 내놓는 희망 매매가
파는 호가 - 매도호가
사는 호가 - 매수호가
※ 호가 단위는 코스피, 코스닥, 해외 선물 등 단위가 조금씩 달라집니다.
|
|
131 |
[주식용어] [주식용어] 조건부 지정가 주문이란? |
2015-10-09 |
|
|
 |
조건부 지정가 주문이란?
지정가 주문 + 조건
처음에는 지정가 주문으로 들어가나
조건이 맞지 않아 거래가 체결되지 않은 채
장 막판이 되면 자동으로 시장가 주문으로 바뀌는 방식입니다.
흔히 자신이 원하는 매매 조건으로 거래를 체결하려 했으나 뜻대로 잘 되지 않자
막판에 가서 시장가 주문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경우입니다.
|
|
130 |
[주식용어] [주식용어] 시장가 주문이란? |
2015-10-02 |
|
|
 |
시장가 주문
매수/매도 종목과 수량만 지정, 가격만 시장가로 매매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성립되는 주문
|
|
129 |
[주식용어] [주식용어] 지정가 주문이란? |
2015-09-24 |
|
|
 |
지정가 주문 = 보통가 주문
매수/매도 주문이 가격/수량과 일치했을때 거래 체결
(가격은 일치하나 수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일치하는 물량만 거래 체결)
|
|
128 |
[주식용어] [주식용어] 증거금이란? |
2015-09-17 |
|
|
 |
증거금이란?
매수 주문을 낼 때 필요한 최소한의 현금 금액
주식의 경우 종목별로 매수 대금의 30%, 40%, 100% 등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00만원짜리 주식(증거금 30% 종목)을 매수하셨다면
당일 30만원이 빠져나가고 나머지 70만원은 2일 뒤에 계좌에서 빠져나가게 됩니다.
※ 일반 주식과 파생 상품 선물 시장의 증거금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설명은 일반 주식을 거래할때의 증거금을 예로 설명해드렸습니다.
|
|
127 |
[주식용어] [주식용어] 예수금이란? |
2015-09-10 |
|
|
 |
예수금이란?
주식 매매를 위해 증권회사에 계좌를 개설한 뒤 입금한 투자 금액
매매 결제 대금으로 사용하지 않은 금액으로,
매매 주문시 증거금으로 사용되거나, 인출 가능한 금액
* 주식 매매를 하면 매매 금액 만큼이 예수금에서 증거금으로 바뀝니다.
|
|
126 |
[주식용어] [주식용어] KRX 100 지수란? |
2015-09-03 |
|
|
 |
KRX 100 지수란?
한국거래소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을 통틀어
업종 대표주, 시가 총액 상위 종목 등 100개를 골라 만드는 종합주가지수입니다.
정식 명칭 - Korea Exchange 100
지수 작성 기준일 - 2001년 1월 2일
사용일 - 2005년 6월 1일
기준 지수 - 1000 포인트
2005년 6월 1일 시초가 1964 포인트로 시작해서
2015년 12월 3일 3975 포인트를 기록했으니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을 통틀어 지수가 2배 가까이 오른 셈이네요.
|
|
125 |
[주식용어] [주식용어] 코스닥 지수란? |
2015-08-26 |
|
|
 |
코스닥 지수란?
코스닥지수란 코스닥시장의 전체 시세를 나타내는 종합주가지수를 말합니다.
지수 산출 기준일 - 1996년 7월 1일
기준 지수 - 100 포인트
기준 지수 변경 - 2004년 1월 기준 1000 포인트
코스피지수는 100 포인트부터 시작인데 코스닥지수는 왜 1000 포인트로 바뀐 걸까요?
2004년 1월부터 바뀐데에는 그만한 사연이 있었습니다.
2003년 들어 이전에 터진 금융 위기나 국내 카드 사태 등의 이유로
코스닥지수는 37 포인트까지 폭락하게 됩니다.
전 세계를 통틀어 37 포인트의 지수라니 망해가는 나라가 아닌 이상 보기 힘든 수치죠.
그런 대외 이미지를 고려해 기준 값이 100 포인트에서 1000 포인트로 바뀌게 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코스닥지수가 690 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고 가정할때.
1996년 7월 1일 기준 단가가 100 포인트였으므로,
1000 포인트로 바뀐 지금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69 포인트라는걸 알 수 있죠.
처음 시작한 100 포인트보다 아직도 내려간 69 포인트라는 겁니다.
벤처 기업이나 중소 기업이 주로 상장되어 있는 시장이라
개별 종목의 변동성이 커서 그렇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동일한 모델인 미국 나스닥(NASDAQ)에 비하면 초라해보이는게 사실입니다.
|
|
124 |
[주식용어] [주식용어] 코스피 지수란? |
2015-08-19 |
|
|
 |
코스피 지수란?
코스피지수 -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
기준 시점 - 1980년 1월 4일
기준 지수 - 100 포인트
산출 공식
코스피지수 = (기준시점 시가총액 ÷ 비교시점 시가총액) x 100
* 시가 총액 계산 방식 = 상장 종목 전체
2015년 12월 3일 코스피지수는 1994P 였으므로
1980년에 비해 전체 시세가 거의 20배 가까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죠.
다만, 시가총액은 발행주식 수 x 시장 단가의 공식으로 구해지는데
주가가 올라가지 않아도 발행주식 수가 늘어나면 지수값이 커지므로
이럴 경우 시장 관리자가 기준 시점 시가 총액도
그만큼 늘려 잡고 종합 지수를 계산하게 됩니다.
반대로 상장이 폐지되는 종목이 생겨 현재 시가 총액이 줄어드는 경우도
시장 관리자가 그만큼 기준 시점 시가 총액도 줄여 종합 지수를 계산합니다.
|
|